본문 바로가기

언어치료 자료실70

아이의 발달 인지가 먼저? 언어가 먼저? 무엇부터 해야 할까요? 느린 아이의 발달에서 언어와 인지 중 어느 것이 먼저일까?흔히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냐? 로 싸우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 아이들의 발달인 인지? 언어? 무엇이 먼저인지 궁금하네요. 함께 알아보아요!1. 서론아이들은 각기 다른 속도로 성장하며, 일부 아이들은 언어 또는 인지 발달이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부모와 교사들은 "언어가 먼저일까? 인지가 먼저일까?"라는 질문을 하게 됩니다. 이를 이해하려면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2. 아동 발달 단계와 언어-인지 관계1) 신생아기 (~12개월)인지 발달: 대상 영속성(사물이 보이지 않아도 존재한다는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함.언어 발달: 울음과 옹알이를 통해 의사소통 시도.▶ 인지가 먼저: 신생아는 언어를 이해하기 전.. 2025. 3. 30.
일반아이에게도 도움되는 느린 아이의 언어발달 방법 언어 발달이 느린 아이들은 꾸준한 자극과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아이의 흥미를 유도하면서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과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 0~1세: 소리 인식과 반응 키우기이 시기의 아이들은 주로 소리를 듣고 반응하며 언어 발달의 기초를 다집니다.추천 방법자주 말 걸어주기: 일상적인 행동을 설명하면서 아이에게 지속적으로 말을 걸어줍니다.소리 나는 장난감 활용: 다양한 소리를 들려주며 청각 자극을 줍니다.(미디어 소리가 아닌 다양한 재질의 타악기나 관악기등)동요 들려주기: 간단한 멜로디와 리듬이 있는 노래를 반복해서 들려줍니다.추천 도구딸랑이, 오뚝이 장난감: 소리에 반응하며 청각을 발달시킵니다.인형을 통한 구연동화: 간단한 단어나 .. 2025. 3. 13.
언어훈련 - 조음방법에 따른 구강훈련법 조음 방법 별 구강 훈련 방법 양순음 /ㅂ/ 연구개를 올려 콧길을 막고, 두 입술을 다물어 구강 안에 잠시 공기를 가두어 압축시켰다가 여리게 터뜨려 내는 소리 /ㅃ/ 연구개를 올려 콧길을 막고, 두 입술을 다물어 공기를 인두강 안에 잠시 가두고 압축시켰다가 /ㅂ/보다 조음기관(특히 후두)을 긴장시켜 내는 소리로 성대는 울리 않는 소리 /ㅍ/ 연구개로 콧길을 막고 두 입술을 다물어 구강 안에 공기를 가두어 압축시켰다가 세게 터뜨리며 내는 소리. 성대 울리지 않는 소리 /ㅁ/ 두 입술을 다물고 연구개를 내려 코로 울림을 수반하는 공기를 비강을 통하여 밖으로 내보내며 내는 소리 ∴종성/ㅁ/을 충분히 지도한 다음 초성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 구강훈련 조음기관: 아랫입술, 윗입술 -볼 홀쭉하게 만들기 -볼 부풀리기.. 2020. 12. 11.
언어 인지발달 - 이야기를 통한 언어발달 이야기 능력 치료방법 ▲ 아이가 이야기 구조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질문하기 아이의 수준에 따라 쉬운 이야기부터 어려운 이야기 순으로 시작. ① 배경 - 이 이야기가 언제 일어났어요? - 이야기가 어디서 일어났어요? - 누구 이야기예요? - 이야기에 누가 나오나요? - 가장 중요한 사람(주인공)은 누구예요? ② 계기사건 - 등장인물(주인공)한테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 ③ 내적 반응 - 주인공은 어떤 생각을 했나요? - 주인공의 마음은 어땠어요? ④ 시도 - 주인공이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나요? ⑤ 결과 - 그래서, 어떻게 되었어요? ▲ 이야기 문법 만들어보기 ① - 철수와 영희가 개울가에서 공놀이를 하고 있었어요(배경) - 그런데, 철수가 공을 잘못 던져, 공이 그만 물에 빠지고 말았어요(계기사.. 2019. 7. 1.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이 보이는 언어장애의 특징 전반적 발달장애(자폐) 아동이 보이는 언어장애의 특징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의 핵심적 특징으로는 상호작용의 결여에 따른 사회성 결핍, 인지적 결함, 언어 및 의사소통 장애, 그리고 강박적 집착 또는 행동 등이 있다. 그러므로 언어의 여러 가지 기능 중 사회적 기능과 가장 관련이 있는 화용론적 측면에서 결함을 주로 나타낸다. 1. 함묵증 : 전혀 소리를 내지 않는 철저한 무언증으로부터 약간의 소리를 동반하는 형태까지 다양하다. 2. 반향어 : 상대방에게 방금 들었던 말이나 문장 또는 과거에 들었던 낱말이나 문장을 특별한 의도나 의미 없이 반복한다. 3. 음성적 특성 : 자폐아동들은 음성은 대체로 음도가 높고, 음도의 범위가 좁아서 단조롭게 들린다. 소프라노 톤으로 말을 하여 특이하게 들린다. 4. 운율적 .. 2019. 6. 24.
언어발달 - 언어 교육, 문장 만들기, 순서 바꾸기 (4) 1. 꼬물꼬물, 잠들어 있는, 불룩한, 늑대의, 배가, 움직였습니다. → 2. 빨리, 바늘을, 집에 가서, 실과, 가져오너라. 가위하고, → 3. 시킨대로, 새끼양은, 엄마가, 바늘과, 가위와, 가지고, 실을, 왔습니다. → 4. 아무것도, 잘랐습니다. 엄마양은, 자고있는, 늑대의, 모르고, 쿨쿨, 배를, → 5. 뛰어나왔습니다. 여섯 마리의, 늑대 배안에서, 모두, 차례로, 새끼양이, → 6. 새끼양들을, 엄마양은, 있어서, 다시, 기뻤습니다. 만날 수, → 7. 새끼들을, 엄마양은, 안아주면서, 힘껏, 안심시켰습니다. → 8. 나쁜짓을, 괘씸한, 늑대가, 다시, 못하도록, 두 번, 혼내주자. → 9. 주워와서, 새끼양들은, 돌을, 엄마 옆에, 부지런히, 쌓았습니다. → 10. 꿰맸습니다. 가득 채우고.. 2019. 6.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