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각통합 자료실19

0~12개월 아이의 언어 감각 발달에서 청각기관의 중요성과 발달 방법 1. 청각기관의 발달과 언어 습득의 연관성1) 태내 청각 발달: - 임신 16~20주차에 태아의 달팽이관(와우)이 완성되어 소리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 임신 24주경부터 태아는 외부 소리에 반응하며, 특히 모성의 목소리 패턴에 익숙해집니다.2) 신생아기 청각 특성: - 출생 직후부터 신생아는 인간 목소리, 특히 고음역대 소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생후 1개월 내 아기는 모국어의 운율 패턴을 선호하는 현상을 보입니다.3) 청각-언어 연결 메커니즘: - 청각 자극이 내이(內耳)를 통해 청신경으로 전달되고 뇌간, 중뇌, 청각피질로 이어지는 신경회로 형성 - 베르니케 영역(좌측 측두엽)과 브로카 영역(좌측 전두엽)의 연결 발달이 언어 이해와 표현의 기초가 됩니다.4) 언어 음.. 2025. 4. 10.
느린아이의 감각 자극 추구 상동행동: 원인과 치료적 접근 1. 감각 자극 추구 상동행동의 의학적 이해감각 자극 추구 상동행동은 발달지연이나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에게서 자주 관찰되는 특징적인 행동 패턴입니다. 이는 감각 처리 방식의 차이와 신경학적 특성에서 비롯되며, 소리를 내는 장난감을 귀에 가까이 대고 듣기, 빛나거나 회전하는 물체 응시, 특정 소리나 단어 반복하기 등으로 나타납니다.2. 감각 자극 추구 상동행동의 신경생물학적 기전 2.1 감각 조절 이상- 중추신경계의 감각 정보 처리 과정에서의 조절 어려움- 시상(thalamus)과 감각 피질의 정보 필터링 기능 저하- 감각 역치의 비정상적 설정 (과민감 또는 둔감) 2.2 신경전달물질 불균형- 도파민 체계의 기능 이상: 보상 경로와 관련- 세로토닌 대사의 변화: 감각 민감도와 정서 조절에 영향- .. 2025. 4. 7.
느린아이의 상동행동: 물건 관련 반복 행동의 원인과 치료 방법 1. 상동행동의 의학적 이해상동행동은 목적이 없는 반복적인 행동 패턴으로, 발달지연이나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에게서 흔히 관찰됩니다. 물건에 대한 반복 행동(바퀴 굴리기, 뚜껑 열고 닫기, 물건 줄 세우기 등)은 이러한 상동행동의 대표적인 예입니다.2. 상동행동의 주요 원인 2.1 신경학적 요인- 전두엽과 기저핵 회로의 기능 이상- 도파민, 세로토닌 등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감각 처리 체계의 조절 어려움 2.2 심리적 요인- 불안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자기 조절 메커니즘- 예측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 안정감 추구- 감각적 자극에 대한 욕구 충족 2.3 환경적 요인- 구조화되지 않은 환경에서의 불안감 증가- 적절한 놀이 기술 부족- 의사소통 능력의 제한으로 인한 대체 표현 방식3. 상동행동의 기능.. 2025. 4. 7.
느린 아이의 상동행동 중 신체와 관련된 행동 관리 방법 상동행동은 발달 지연이 있는 아이들에게 자주 관찰되는 반복적인 동작입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자기 조절, 감각 조절, 불안 관리 등의 목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런 행동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입니다.상동행동을 이해하기상동행동은 단순히 '나쁜 습관'이 아니라 아이의 내적 욕구나 감각 조절의 어려움을 반영합니다. 이를 완전히 '없애는' 것보다 점진적으로 관리하고 대체 행동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의학적 접근 방법1. 전문가 평가 및 진단* 발달소아과 전문의 또는 소아정신과 전문의 상담: 상동행동의 원인과 양상을 평가* 작업치료사 평가: 감각통합 문제 확인* 임상심리사 평가: 행동의 기능적 분석 수행2. 감각통합치료 (Sensory Integration Therapy)아이가 감각을 적절히 처.. 2025. 4. 7.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놀이 치료방법 놀이는 아이들의 자연스러운 언어이며, 놀이 치료는 이러한 자연스러운 표현 방식을 활용하여 정서적, 행동적, 발달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가정에서도 간단한 놀이 치료 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요.A. 💡 가정에서 시도할 수 있는 놀이 치료 활동1. 감각놀이**방법:** 모래, 찰흙, 물, 쌀 등 다양한 질감의 재료를 준비해 아이가 자유롭게 만지고 탐색하게 합니다.**의학적 효과:** 감각 통합 능력 향상, 촉각 자극을 통한 뇌 발달 촉진, 스트레스 감소**실제 사례:** 5세 민준이는 새로운 음식 시도를 극도로 꺼려했어요. 부모님이 매일 15분간 다양한 질감의 재료로 감각놀이를 한 후, 2주 만에 새로운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2. 역할놀이**방법:** 의사, 선생님, .. 2025. 4. 3.
느린 아이가 킥보드와 자전거를 배우기 어려운 이유와 배워야하는 이유 느린 아이(발달이 지연된 아동)가 킥보드와 자전거를 배우기 어려운 이유는 주로 신경계 발달, 근력, 협응 능력 등의 차이에서 기인합니다. 아래에서 의학적으로 자세히 설명한 후,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전해야 하는 이유와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1. 느린 아이가 킥보드와 자전거를 배우기 어려운 이유① 신체 협응력 부족 (Motor Coordination Deficit)킥보드와 자전거는 몸의 여러 부위를 동시에 조절해야 합니다.소뇌(cerebellum)와 대뇌피질(motor cortex)의 발달이 지연된 아이들은 균형 잡기, 손발 협응력, 방향 전환 등의 기능이 미숙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킥보드는 한 발로 지탱하며 다른 발로 밀어야 하고, 자전거는 두 발을 번갈아 밟으며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데, .. 2025.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