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15 언어 인지발달 - 이야기를 통한 언어발달 이야기 능력 치료방법 ▲ 아이가 이야기 구조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질문하기 아이의 수준에 따라 쉬운 이야기부터 어려운 이야기 순으로 시작. ① 배경 - 이 이야기가 언제 일어났어요? - 이야기가 어디서 일어났어요? - 누구 이야기예요? - 이야기에 누가 나오나요? - 가장 중요한 사람(주인공)은 누구예요? ② 계기사건 - 등장인물(주인공)한테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 ③ 내적 반응 - 주인공은 어떤 생각을 했나요? - 주인공의 마음은 어땠어요? ④ 시도 - 주인공이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나요? ⑤ 결과 - 그래서, 어떻게 되었어요? ▲ 이야기 문법 만들어보기 ① - 철수와 영희가 개울가에서 공놀이를 하고 있었어요(배경) - 그런데, 철수가 공을 잘못 던져, 공이 그만 물에 빠지고 말았어요(계기사.. 2019. 7. 1. 사회성 - 수업 집중 놀이 방법 수업중 집중 놀이 1) 소리 없는 출석 부르기 대부분의 선생님이 수업에 들어가면 반장의 구령에 맞춰 인사를 하고, 교실을 한번 쭈욱 훑어보고 출석부에 표시를 하고 수업에 들어간다. 아이들은 자신의 이름보다는 15번, 반장, 저 뒤 안경 쓴 애, 창 쪽 뒤에서 두 번째 등으로 불려 진다. 하루 동안 선생님으로부터 이름이 불려지는 아이들은 몇 명이나 될까 ? 수업 시작하기 전에 한 번 출석을 불러 보자. 이때 번호순으로 부르기보다는 약간만 방법을 바꾸어 보자. 교사는 무작위( 또는 대각선 ) 아이들의 이름을 불러 보자 그리고 호명 받은 학생은 손을 들고 교사를 쳐다보도록 하자. 몇 명을 이렇게 부르고는 소리를 점점 작게 해보자 그래서 결국에는 소리를 내지 않고 입 모양만 크게 하여 부르고 불려진 학생은 자신.. 2019. 6. 24. 청능(듣기), 수용언어,표현언어,말,인지,사회적 의사 소통(화용 ) 발달표 듣기 (청능) 수용언어 표현언어 말 인지 사회적 의사소통 (화용) ○ 소리를 인식한다. ○ 소리에 대한 반응으로 미소짓거나, 머리를 돌려 쳐다보거나, 하던 동작을 멈추거나, 놀라는 반응 등을 한다. ○ 큰 소리에 반응한다. ○ 엄마 또는 양육자의 목소리를 안다. ○ 갑작스러운 소리에 놀라는 반응을 보인다. ○ 말하는 사람의 얼굴을 본다. ○ 미소를 짓거나 조용해지는 것으로 말소리에 반응한다. ○ 친숙한 소리에 조용해진다. ○ 배고프거나 화가 나면 울음으로 표현한다. ○ 좋다는 표현으로 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 가끔 말소리에 대한 반응으로 발성을 하기도 한다. ○ 운다. ○ 우는 것 외의 소리를 내기 시작한다(예. 목을 울리는 소리, 목에서 꼴록꼴록 소리 내기) ○ 친숙한 사람이나 상황을 안다.. 2019. 4. 17. 점잇기 - 선긋기 자료 2019. 4. 12. 점선 잇기 - 선긋기 자료 2019. 4. 12. 집중력 - 주의 집중력 향상을 위한 인지 과제와 게임 *주의 집중력 향상을 위한 인지과제와 게임들* 시각 주의 두 그림(글자, 숫자)에서 차이점 찾기 복잡한 그림에서 표적 그림 찾기(동물 그림들에서 날짐승 찾기) 숨은 그림 찾기 빠진 그림 (기호, 동물) 찾기 틀린 글자, 특정 글자나 숫자 찾아내기 시각 기억 그림 따라 그리기 (그림. 기호) 무엇일까요? (그림의 전체를 보여준 다음 그림의 일부분 보여주고 맞추기) 동화책의 그림들 기억하기 물건 숨긴 장소 기억하기 사람 얼굴 특징 기억하기 글 읽은 후 내용 기억하기 청각 주의 무슨 소리일까? 리듬 따라 치기 머릿속으로 그림 그리기 지시듣고 그림그리기 지시대로 따르기 설명과 다른 부분 찾기 숫자 듣고 암산하기 시끄러운 소리 속에서 선생님 말 찾기 순차적 문제 해결 미로 빠져 나가기 숫자(문자)순서대로 잇기 순.. 2019. 3. 3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