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언어교육5

언어발달 - 언어 교육, 문장 만들기, 순서 바꾸기 (4) 1. 꼬물꼬물, 잠들어 있는, 불룩한, 늑대의, 배가, 움직였습니다. → 2. 빨리, 바늘을, 집에 가서, 실과, 가져오너라. 가위하고, → 3. 시킨대로, 새끼양은, 엄마가, 바늘과, 가위와, 가지고, 실을, 왔습니다. → 4. 아무것도, 잘랐습니다. 엄마양은, 자고있는, 늑대의, 모르고, 쿨쿨, 배를, → 5. 뛰어나왔습니다. 여섯 마리의, 늑대 배안에서, 모두, 차례로, 새끼양이, → 6. 새끼양들을, 엄마양은, 있어서, 다시, 기뻤습니다. 만날 수, → 7. 새끼들을, 엄마양은, 안아주면서, 힘껏, 안심시켰습니다. → 8. 나쁜짓을, 괘씸한, 늑대가, 다시, 못하도록, 두 번, 혼내주자. → 9. 주워와서, 새끼양들은, 돌을, 엄마 옆에, 부지런히, 쌓았습니다. → 10. 꿰맸습니다. 가득 채우고.. 2019. 6. 18.
언어발달 - 언어 교육, 문장 만들기, 순서 바꾸기 (3) 1. 먹어, 한 마리도, 다, 버릴거야. 남김없이, 찾아내서, → 2. 숨어있는, 늑대는, 꿀꺽, 찾아내어, 새끼양들을, 통째로, 삼켰습니다. → 3. 새끼양, 늑대는, 사이에, 눈, 여섯 마리를, 깜짝할, 삼켜버렸습니다. → 4. 늑대에게, 새끼는, 발견되지 않은, 숨어있는, 벽시계 속에, 막내뿐이었습니다. → 5. 속에서, 불쌍하게도, 떨고, 벽시계, 바들바들, 있었습니다. → 6. 옆으로, 늑대는, 코를, 벽시계, 왔습니다. 킁킁거리며, → 7. 땡땡, 시작했습니다. 갑자기, 치기, 벽시계가, 종을, → 8. 이제 배도, 집밖으로, 부르니, 자야지하면서, 나가버렸습니다. 낮잠이나, → 9. 막내는, 시계속에서, 그제야 ,마음을, 떨고 있던, 놓고, 중얼거렸습니다. → 10. 여섯 마리나, 새끼양을,.. 2019. 6. 18.
자녀교육 - 언어의 사회적, 소통적 기초 -아기와 돌보는 이 사이의 상호작용 아기와 돌보는 이 사이의 상호작용 1. 공동지시 • 용어정의 ① 지시(reference): 많은 것들 중에서 하나의 실체를 변별하고 그 존재에 주목하는 능력 ② 공동지시(joint reference): 두 사람 이상의 개인이 하나의 실체에 같이 집중하는 것으로 언어발달에 특히 중요. 이는 맥락 안에서 아기가 주목하기를 신호하거나 직접적인 주의의 몸짓, 음성, 언어적 신호를 발달시킬 수 있기 때문. • 초기 지시하기의 구성 ① 가리키기(indicating) - 몸짓, 자세, 음성형식 - 아기와 엄마는 함께 같은 것을 선택하여 주의하는 확인하는 체계에서 시작 - 손 뻗기 몸짓은 뻗기에서 변화되어 차츰 다른 이가 알 수 있는 표준화된 몸짓이 됨. ② 가리킴말(deixis) - 공간적, 시간적, 상호적 특징을 .. 2019. 4. 18.
자녀교육 - 언어의 사회적, 소통적 기초 -엄마의 의사소통 행동 엄마의 의사소통 행동 “엄마가 아기에게서 무언가 배우려고 하며, 아기의 패턴에 기꺼이 반응하기 때문에 중요한 많은 경험이 가능하다(Bateson, 1970).” 1. 아기가 유발하는 사회적 행동 ⑴ 아기 말(baby talk)= 모성어(motherese), 부모어(parentese) • 보통 대화에서 사용하는 것과는 다르게 체계적인 수정을 거쳐 하는 성인과 아이의 말과 언어 • 아기 말의 특징 ① 짧은 발화길이와 단순한 통사 6개월 이내 MLU 3.0, 6개월 이상 MLU 3.5, 1세 이후 MLU 2.8-3.5 ② 적은 핵심 어휘 ③ 지금 여기(here & now)에 한정된 주제에 대상 중심적임. ④ 과장되고 잦은 얼굴표정과 몸짓 ⑤ 많은 수정과 반복 ⑥ 억양, 쉼, 소리 높이와 크기, 모음의 지속시간.. 2019. 4. 18.
자녀교육 - 언어의 사회적, 소통적 기초 - 의사소통의 발달: 연대표적 서술 초기 언어의 사회적, 소통적 기초 • infant는 라틴어 infans에서 유래. 이는 not speaking이라는 뜻으로 언어이전(prelinguistic), 비언어적(nonverbal)과 같은 의미임. • 아기는 의사소통을 더 잘하거나 더 나은 사회적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언어를 배우며 사용(use)이 동기적 요인임. • 언어가 생기는 사회적 맥락이 그 언어의 이해를 돕는다. ① 언어의 상황적 적절성 ② 예측 가능성 ③ turn taking 및 비언어적 신호하기 • 계층과 문화에 따라 아기-돌보는 이의 상호작용 상이 • 아기 말(baby talk)에서 보이는 5가지 기본적 차이 ① 융통성이 많은 시간개념 ② 직관적인 교육계획 ③ 자신의 표정변화를 재빨리 모니터 및 부호화 ④ 목표를 얻기 위한 대안적 .. 2019. 4.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