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41 느린아이의 언어적 상동행동: 의학적 분석과 치료적 개입 방법 1. 언어적 상동행동의 의학적 이해 1.1 정의와 특성- 언어적 상동행동은 목적이 불분명하게 같은 말이나 문장을 반복하는 행동 패턴- 반향어(에콜레일리아), 상황과 무관한 언어 반복, 들은 문구 모방 등으로 나타남- 발달지연, 자폐스펙트럼장애, 지적장애 등에서 흔히 관찰됨 1.2 분류- 즉각적 반향어: 바로 직전에 들은 말을 즉시 반복- 지연된 반향어: 과거에 들었던 말이나 문구를 나중에 반복- 완화된 반향어: 들은 말을 약간 변형하여 반복- 상황 부적절 언어: 맥락과 무관한 언어적 표현 반복2. 신경생물학적 기전 2.1 뇌 구조 및 기능적 특성- 브로카 영역(언어 생성)과 베르니케 영역(언어 이해) 간 연결성 문제- 거울 신경 시스템의 과활성화: 다른 사람의 언어를 모방하는 경향 증가- 기저핵과 전두엽.. 2025. 4. 7. 느린아이 언어치료 효과 높이는 방법 느린 아이(언어 발달이 지연된 아이)의 언어 치료를 효과적으로 높이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언어 치료의 승인 기준은 국가별, 기관별로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의학적 진단, 언어 평가 결과, 치료 필요성 등을 기반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치료 계획을 세울 때는 공식적인 평가 기준을 충족하는 방법으로 접근해야 합니다.1. 공식적인 진단 및 평가언어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진단과 평가 결과가 필요합니다.실행 방법:소아청소년과, 언어치료사, 심리학자, 특수교육 전문가를 방문하여 공식적인 평가를 받습니다.평가도구 예시: REVT(수용·표현 어휘력 검사), PRES(유아 수용·표현 언어 척도), K-WPPSI(유아용 지능 검사) 등진단 기준에 따라 치료 필요 여부를 결정하고, 결과를 서류로 확보하.. 2025. 3. 18. 느린아이 치료 계획 세우기(3) 4. 내 아이 치료 계획세우기 1) 단과적 계획이 아닌 통합적 계획 세우기 * 사람이란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쪽면만 봐서는 온전한 치료가 불가능하다 * 병원의사선생님과 센터의 원장님, 그리고 치료사와 부모님의 협업이 되어질때 아이가 하루라도 빨리 일반화가 되어질 수 있다. 2) 통합적 계획 세우기 * 통합적이라함은 사람은 영, 혼, 육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리고 육체에는 뇌와 신경, 뼈, 근육, 피부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깊이 들어가면 뇌에는 소뇌, 중뇌, 대뇌피질이 있고 피질의 기능별 영역으로 하면 전두엽, 전전두엽, 측두엽, 후두엽등등이 있고 각 영역이 담당하는 사고영역, 시각영역, 청각영역, 운동영역, 언어영역등등 많이 있지만 여기서는 대표적인 부분만 다루고.. 2022. 6. 24. 0세에서 7세 월령별 언어발달표 월령별 언어발달 단계표 1. 0~6개월 ·소리에 놀라는 반응을 보인다. ·같은 소리를 반복한다. ·자주 목구멍 소리, 목구멍을 꾸르르 울리는 소리, 그리고 즐거운 소리를 낸다. ·다른 생리적인 욕구들에 대하여 구별된 울음을 운다. ·유아에게 이야기를 하면 미소 짓는다. ·목소리를 인식한다. ·고개를 돌려 소리 근원지를 찾는다. ·사람의 목소리에 조용해진다. ·구어/말을 경청한다. ·/b, p, m/ 등의 음소들이 섞인 옹알이를 한다. ·소리를 모방한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소리나 제스처를 사용한다. ·음도나 강도를 변화한다. 2. 7~12개월 ·“안 돼” 소리의 의미를 이해한다. ·자신의 이름을 이해하고, 그에 반응한다. ·좀 더 많은 소리들을 듣고 모방한다. ·일상용품 낱말을 인식한다.. 2019. 6. 17. 자녀교육(언어) - 연령에 따른 맞춤 대화법 연령별 우리 아이에게 꼭 맞는 ‘맞춤 대화 방법’ 말을 잘하는 아이는 어휘력이 풍부하거나 말을 많이 하는 아이가 아니라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이해하고 자기 생각과 느낌을 제대로 된 단어, 문장으로 표현하는 아이랍니다. 아이의 언어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태도! 우리 아이의 언어 표현력과 논리력을 키우는 대화법을 실천해 보세요. 생후 12개월 전 주변에서 들리는 다양한 소리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기예요. 다양한 소리 자극 속에서 엄마, 아빠의 소리를 구분해요. 다양한 대상의 소리를 흉내 낼 수 있으며 억양과 악센트가 있는 옹알이를 많이 해요. 옹알이를 따라 해주세요. 이 시기에는 엄마, 아빠의 반응적인 말하기가 굉장히 중요하답니다. 아이가 옹알이를 할 때는 아이 눈을 마주치고 옹알이를 .. 2019. 4. 17. 상황언어 - 상황에 따른 언어 놀이 상황별 언어놀이 1. 아침에 유치원에서 아는 친구를 만났을때 미미 : 쥬쥬야 안녕? 난 아빠랑 같이 왔는데 너는? 쥬쥬 : (친구 눈을 보면서 친구 이름을 부르면서) 미미야 안녕? 난 엄마랑 같이 왔어 미미 : 유치원 마치고 같이 놀래? 쥬쥬 : (같이 놀고 싶을때) 그래 같이 놀자. 놀이터가서 그네타자. 자전거 타러 가자 넌 뭐 하고 싶어? 미미 : 그래 자전거 타러가자. 재밌겠다 그치? 쥬쥬 : (친구 얼굴보면서 이름부르면서) 그래 우리 손잡고 가자. 2. 친구랑 오늘은 놀고 싶지 않을때 미미 : 쥬쥬야 우리 같이 놀이터 갈래? 같이 놀자 쥬쥬 : (친구눈 보면서, 이름부르면서) 나 오늘 집에가서 쉴거야. 다음에 같이 놀자. 3. 이모랑 만나기로 했을때 미미 : 쥬쥬야 우리 같이 놀이터 갈래? 같이 .. 2019. 4. 17.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