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지연14

느린아이 치료 계획 세우기(3) 4. 내 아이 치료 계획세우기 1) 단과적 계획이 아닌 통합적 계획 세우기 * 사람이란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쪽면만 봐서는 온전한 치료가 불가능하다 * 병원의사선생님과 센터의 원장님, 그리고 치료사와 부모님의 협업이 되어질때 아이가 하루라도 빨리 일반화가 되어질 수 있다. 2) 통합적 계획 세우기 * 통합적이라함은 사람은 영, 혼, 육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리고 육체에는 뇌와 신경, 뼈, 근육, 피부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깊이 들어가면 뇌에는 소뇌, 중뇌, 대뇌피질이 있고 피질의 기능별 영역으로 하면 전두엽, 전전두엽, 측두엽, 후두엽등등이 있고 각 영역이 담당하는 사고영역, 시각영역, 청각영역, 운동영역, 언어영역등등 많이 있지만 여기서는 대표적인 부분만 다루고.. 2022. 6. 24.
자폐 스펙트럼의 단계적 치료 방법(2) 2) 발달 단계표를 확인했다면 다음은 센터 방문하기!* 부모님들은 자신의 자녀이기 때문에 아이를 객관적, 전문적으로 바라보기가 어렵습니다. 물론 아이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부모님입니다. 다만 부모님들이 아이를 객관적으로 보기보다는 주관적으로 볼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센터에 있는 전문가를 찾아가서 아이를 보여 주십시요- 센터에 갈때 아이를 대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아이에 대한 자세한 피드백을 받을 수 없습니다. 아이를 상담하시는 분에게 보이시고 아이에 대한 상담을 하십시요.* 센터를 고를 때 언어치료실만 있는 곳이나 감각치료실만 있는 곳 또는 특수체육만 하는 단편적인 센터는 고려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우리 아이들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뇌에서 신체까지, 감각에서 인지까지, 듣기.. 2022. 6. 12.
0세에서 7세 월령별 언어발달표 월령별 언어발달 단계표 1. 0~6개월 ·소리에 놀라는 반응을 보인다. ·같은 소리를 반복한다. ·자주 목구멍 소리, 목구멍을 꾸르르 울리는 소리, 그리고 즐거운 소리를 낸다. ·다른 생리적인 욕구들에 대하여 구별된 울음을 운다. ·유아에게 이야기를 하면 미소 짓는다. ·목소리를 인식한다. ·고개를 돌려 소리 근원지를 찾는다. ·사람의 목소리에 조용해진다. ·구어/말을 경청한다. ·/b, p, m/ 등의 음소들이 섞인 옹알이를 한다. ·소리를 모방한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소리나 제스처를 사용한다. ·음도나 강도를 변화한다. 2. 7~12개월 ·“안 돼” 소리의 의미를 이해한다. ·자신의 이름을 이해하고, 그에 반응한다. ·좀 더 많은 소리들을 듣고 모방한다. ·일상용품 낱말을 인식한다.. 2019. 6. 17.
미디어의 악영향 - WTO권고안 2~3세 어린이 하루 1시간 이상 미디어 사용 안돼! "엄마 나 밥 다섯 번 먹고 스마트폰으로 게임 한 번 할게, 알았지" 이순용 입력 2019.05.15. 14:48 댓글 52개 WHO, 스마트폰에 푹 빠진 아이들을 위한 첫 가이드라인 제시 2~4세 어린이 하루 1시간 이상 스마트폰 안돼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엄마, 나 밥 다섯 번 먹으면 스마트폰으로 게임 한 번 할게. 알았지?” 5살 아이를 키우는 김 씨는 식사시간만 되면 아이와 스마트폰 쟁탈전을 벌인다. 밥 잘 안 먹는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주고 식탁에 앉혀 한 숟갈이라도 더 먹여보려 한 것이 화근이 됐다. 처음에는 가르쳐주지 않아도 어느 순간부터 스마트폰을 능숙하게 다루는 아이가 신기하기도 했다. 그러나 스마트폰을 장시간 넋을 잃고 보거나, 틈만 나면 떼쓰고 잘한 일에 대한 보상심리로 스마트폰을 .. 2019. 5. 15.
언어치료 - 조음훈련 방법 1) 말소리 유형에 따른 훈련 가. 마찰음 〔ㅅ, ㅆ, ㅎ〕 - 조음점 고려하지 말고, 조음기관의 어느 곳이던 상관없이 ‘마찰’의 소리를 낼 수 있게 하는 것을 우선해야 함. 일반적으로 두 입술을 사용해서 마찰의 소리를내게 하면 성공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해서 마찰 소리를 듣고 청각적으로 이를 감지하게 되면 치경의 조음 위치에서도 마찰 소리를 발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나. 파열음 〔ㅂ, ㄷ, ㄱ〕 - 우선 두 입술을 사용하여 침 뱉는 흉내 등을 시켜서 ‘파열’의 본질을 깨닫게 한다. 두 입술을 가볍게 다물고 공기를 입 밖으로 내밀면 파열이 일어나는 현상을 교사가 시범을 보이고 아동으로 하여금 따라 하게 하는 방법도 효과가 있다. 조음 기관을 사용하지 않고 고무 풍선 등을 터트려서 파열을 인식.. 2019. 4. 16.
언어치료 - 혀 훈련 3. 혀 훈련 1)혀 운동하기 (1)혀를 앞으로 내밀고 뒤로 당기기를 할 수 있다. ① 설압자로 혀 부위 마사지하기 ② 거즈로 혀 부위 마사지하기 ③ 부드러운 빵을 혀 돌출하여 핥아먹기 ④ 초콜릿을 혀 돌출하여 핥아먹기 (2)혀끝을 구개나 입술에 댈 수 있다. ① 혀 거상 운동하기 ② 혀끝을 구개에 접촉하기 ③ 혀끝을 입술에 부위에 접촉하기 ④ 혀 가상 능력 기르기 ⑤ 입술 주위에 꿀을 발라 혀로 핥아먹기 ⑥ 구령에 맞추어 혀를 구개에 접촉하기 (3)혀끝을 치아나 아랫입술 부위에 댈 수 있다. ① 설압자로 밀어 혀 아래로 내리기 ② "치""쳇""쩝쩝"을 반복적으로 발음하기 ③ 구개-치경부-치아 부위의 순으로 혀 쓸어 내리기 ④ 아랫입술 주변에 꿀을 발라 혀로 핥아먹기 ⑤ 구령에 맞추어 혀를 내리기 (4).. 2019.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