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치료 자료실/언어관련 기타 자료

자녀교육 - 언어의 사회적, 소통적 기초 -엄마의 의사소통 행동

by 모두의 발달 2019. 4. 18.
반응형

엄마의 의사소통 행동

“엄마가 아기에게서 무언가 배우려고 하며, 아기의 패턴에 기꺼이 반응하기 때문에 중요한 많은 경험이 가능하다(Bateson, 1970).”

 

1. 아기가 유발하는 사회적 행동

⑴ 아기 말(baby talk)= 모성어(motherese), 부모어(parentese)

• 보통 대화에서 사용하는 것과는 다르게 체계적인 수정을 거쳐 하는 성인과 아이의 말과 언어

• 아기 말의 특징

① 짧은 발화길이와 단순한 통사

6개월 이내 MLU 3.0,

6개월 이상 MLU 3.5,

1세 이후 MLU 2.8-3.5

② 적은 핵심 어휘

③ 지금 여기(here & now)에 한정된 주제에 대상 중심적임.

④ 과장되고 잦은 얼굴표정과 몸짓

⑤ 많은 수정과 반복

⑥ 억양, , 소리 높이와 크기, 모음의 지속시간에서의 부차언어적 변형

⑦ 잦은 질문과 인사

⑧ 아기의 모든 행동을 의미있는 것으로 해석하며, 아기 차례를 기다려주고 되돌려 주지 않아도 반응을 해줌 ⇝ 성인의 적절한 지속적인 반응성(responsivity)은 아기의 초기 의사소통의 시작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함

⑨ 동일한 대상을 가리키면서 하는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 일련의 일화(episode)

⑩ 잉여성(redundancy)이 높고 이어지는 발화들 사이의 의미적 유사성이 높음

• 아기 말의 목적에 대한 의견

① 아기의 주의를 끌고 지속시키기 위해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의 반복 및 운율과 억양에서 변화 시도

② 단순화된 말이 아기가 언어를 배우는데 도움이 되므로

③ 아기의 반응성을 적정수준에 유지시키므로

④ 형식이나 내용보다는 언어사용을 가르치도록 맥락을 제공하기 위해

⑤ 인간 종의 진화적 발달을 반영

⑥ 아기의 주의를 끌고 유지, 정서적 결합을 형성, 가장 먼저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해 주므로

 

⑵ 시선

• 엄마-아기의 시선 패턴: 30sec+ cf)성인-성인의 경우 2-3 sec

• 대화 주제에 맞추어 아기의 시선을 모니터하여 공동지시를 이루어 냄

⑶ 얼굴표정

• 얼굴표정의 기능

① 시작하기: 10-15sec마다 하는 가짜로 놀라는 표정(눈을 크게 뜨고, 눈썹을 치켜 올리고, 입을 벌리고, 고개를 기울이고, “오오하는 소리 내기)

② 교환을 지속하고 맞추어 가기: 미소(의사소통이 별 어려움 없이 진행되고 있음을 표시)나 관심(의사소통에 문제가 발생하여 교환에 다시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표시. 크게 뜬 눈과 찌푸린 눈썹, 약간 벌린 입)

③ 끝내기: 찌푸린 눈살, 고개 돌리기, 눈길 피하기

④ 사회적 상호작용 회피: 고개 돌리기, 중립적이거나 무표정한 얼굴표정

⑷ 얼굴 보이기와 머리 움직임

• 다양한 머리 움직임 사용

: 끄덕이기, 흔들기, 비키기, 한쪽으로 치우치기 등

• 갑자기 얼굴 내밀기(아기의 주의를 끌고 지속시키는데 사용)

• 가짜로 놀라는 표정

 

⑸ 근접학

• 상호 공간이 없는 것처럼 행동하고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소통

 

2. 문화적, 사회경제적, 성적인 차이

⑴ 문화적 차이

 

미국 엄마

일본 엄마

• 정보 지향적(문법적으로 정확한 말, 수다스러움, /아니오 유형의 질문하기를 자주 표현)

⇝ 좀 더 직접적이고 개인적 표현을 강조

• 주로 언어적 반응(적은 신체적 접촉)

• 아기의 구구소리나 편안한 소리에 더 반응적

• 주의를 지속시키려는 말을 주로 함

 

• 감정 지향적(무의미한 말, 의성어, 주변에서 나는 소리, 아기 이름을 자주 표현)

⇝ 좀 더 직관적이고 간접적이며 공감과 동조를 강조

• 주로 비언어적 반응(잦은 신체적 접촉)

• 아기의 불편해 하는 소리나 안달하는 소리에 더 반응적

• 소리내기를 하는 동안 말을 하여 더 많은 소리내기를 유발

 

 

⑵ 사회경제적 차이

 

사회경제적으로 높은 엄마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엄마

• 질문을 자주 함

• 보다 언어적

 

• 명령문이나 지시문을 더 많이 사용

• 엄마에 의한 대화가 점차 감소하면서 형제나 또래 친구들이 아기의 사회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함

 

⑶ 성적 차이

• 아들보다 딸하고 근접성을 더 잘 유지(4세까지)

2세 여자 아기에게는 더 많은 질문을, 남자 아기에게는 지시를 더 많이 함

• 여자 아기에게 좀 더 반복적이며, 아기 대답을 더 잘 알아듣고, 차례를 더 잘 지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