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발달이 느린 아이들은 꾸준한 자극과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아이의 흥미를 유도하면서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과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0~1세: 소리 인식과 반응 키우기
이 시기의 아이들은 주로 소리를 듣고 반응하며 언어 발달의 기초를 다집니다.
추천 방법
자주 말 걸어주기: 일상적인 행동을 설명하면서 아이에게 지속적으로 말을 걸어줍니다.
소리 나는 장난감 활용: 다양한 소리를 들려주며 청각 자극을 줍니다.(미디어 소리가 아닌 다양한 재질의 타악기나 관악기등)
동요 들려주기: 간단한 멜로디와 리듬이 있는 노래를 반복해서 들려줍니다.
추천 도구
딸랑이, 오뚝이 장난감: 소리에 반응하며 청각을 발달시킵니다.
인형을 통한 구연동화: 간단한 단어나 노래를 들려줘 언어 자극을 줍니다.
촉감 책: 손으로 만지면서 단어와 소리를 연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1~3세: 단어 이해와 표현 늘리기
이 시기의 아이들은 단어를 이해하고 간단한 표현을 시도하는 단계입니다.
추천 방법
그림책 읽어주기: 다양한 단어를 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단순한 질문하기: “이게 뭐야?” 같은 쉬운 질문을 던져 아이가 말하도록 유도합니다.
손짓과 표정 활용: 손짓과 표정을 함께 사용하여 의미를 쉽게 전달합니다.
추천 도구
그림책과 양육자의 다양한 구연 소리: 단어와 그림을 연결해 이해력을 높입니다.
블록 놀이: 색깔, 모양을 말하며 언어 표현을 유도합니다.
퍼즐 장난감: 사물의 이름을 말하면서 언어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3. 3~5세: 문장 구성과 표현력 향상
이 시기의 아이들은 단어를 조합하여 간단한 문장을 만들고 자기 생각을 표현하기 시작합니다.
추천 방법
롤플레이 놀이: 인형이나 장난감을 활용해 역할극을 하며 대화를 연습합니다.
이야기 만들어보기: 그림을 보고 이야기를 만들도록 유도합니다.
반복해서 말하기 연습: 아이가 말한 문장을 확장해 주며 표현력을 키웁니다.
추천 도구
역할놀이 장난감(주방 놀이, 병원 놀이 세트 등): 상황을 설정하고 대화하는 연습을 합니다.
카드 게임(단어 카드, 그림 카드 등): 단어를 보고 이름을 맞히거나 문장을 만들어 봅니다.
노래와 율동: 몸을 움직이며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4. 6세 이상: 문장 확장과 사회적 언어 사용
이 시기에는 문장을 확장하고 다른 사람과의 대화를 통해 사회적 의사소통을 배웁니다.
추천 방법
책을 읽고 이야기 나누기: 읽은 내용을 요약하거나 감상을 이야기하도록 유도합니다.
그림일기 쓰기: 간단한 그림을 그리고 짧은 문장을 적어보도록 합니다.
친구들과 역할극 하기: 상황을 설정하고 대화하는 연습을 합니다.
추천 도구
스토리 큐브(이야기 만들기 주사위): 주사위를 던져 나온 그림을 보고 이야기를 만듭니다.
보드게임(말하기, 질문 카드 포함된 게임): 자연스럽게 질문하고 대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디지털 학습 앱: 발음 연습과 단어 확장을 도와주는 교육용 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이 시점에는 과하지 않은 한도에서 미디어 활용 가능)
언어 발달을 돕는 팁
1. 긍정적인 피드백 제공: 아이가 말을 하면 칭찬하며 자신감을 키워주세요.
2. 아이의 관심사 활용: 좋아하는 캐릭터나 장난감을 활용하면 더 적극적으로 반응할 수 있습니다.
3. 천천히 또박또박 말하기: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발음해 주세요.
4. 강요하지 않기: 아이가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대화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마다 언어 발달 속도는 다르지만, 꾸준한 자극과 연습을 통해 충분히 성장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방법과 도구를 활용하여 아이의 언어 능력을 키워주세요!
☆ 어려서부터 미디어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언어치료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세 일반아동의 언어 발달과 느린아이를 위한 훈련 방법 (0) | 2025.04.08 |
---|---|
0~1세 정상아 발달 과정과 느린 아이를 위한 훈련 방법 (2) | 2025.04.08 |
언어훈련 - 조음방법에 따른 구강훈련법 (0) | 2020.12.11 |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이 보이는 언어장애의 특징 (0) | 2019.06.24 |
상황언어 - 상황에 따른 언어 놀이 (0) | 2019.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