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치료 자료실/언어관련 기타 자료

아이의 발달 인지가 먼저? 언어가 먼저? 무엇부터 해야 할까요?

by 모두의 발달 2025. 3. 30.
반응형

느린 아이의 발달에서 언어와 인지 중 어느 것이 먼저일까?
흔히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냐? 로 싸우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 아이들의 발달인 인지? 언어? 무엇이 먼저인지 궁금하네요. 함께 알아보아요!

1. 서론

아이들은 각기 다른 속도로 성장하며, 일부 아이들은 언어 또는 인지 발달이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부모와 교사들은 "언어가 먼저일까? 인지가 먼저일까?"라는 질문을 하게 됩니다.
이를 이해하려면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2. 아동 발달 단계와 언어-인지 관계

1) 신생아기 (~12개월)

인지 발달: 대상 영속성(사물이 보이지 않아도 존재한다는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함.

언어 발달: 울음과 옹알이를 통해 의사소통 시도.


▶ 인지가 먼저: 신생아는 언어를 이해하기 전에 주변 환경을 탐색하고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이 먼저 발달함.

2) 유아기 (1~3세)

인지 발달: 상징적 사고 시작, 간단한 문제 해결 가능.

언어 발달: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고 2~3어절 문장 구성 가능.


▶ 언어와 인지가 상호작용: 아이가 사물을 인지하고 나서야 그것을 지칭하는 단어를 배움. 그러나 언어가 확장되면서 사고력도 함께 발달함.

3) 학령전기 (3~6세)

인지 발달: 논리적 사고 시작, 가상 놀이 발달.

언어 발달: 문장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음.


▶ 언어가 인지를 촉진: 이 시기에는 언어가 사고를 정리하고 논리적 사고를 돕는 중요한 도구로 작용함.

3. 느린 아이의 경우

발달이 느린 아이들은 개별적인 특성이 다르므로 다음과 같은 경우를 고려해야 합니다.

1. 인지 지연이 먼저인 경우: 인지 능력이 낮으면 새로운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워 언어 발달도 함께 지연될 가능성이 큼.


2. 언어 지연이 먼저인 경우: 아이가 인지 능력은 적절하나 표현 언어가 늦어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음.


인지능려과 언어능력 어는게 먼저일까?



4. 결론

느린 아이의 발달에서 일반적으로 인지가 먼저 발달하고, 이후 언어가 이를 따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언어가 충분히 발달하지 않으면 인지 능력 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개입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