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달장애 자료실

내 아이는 발달 장애일까? 학습 장애일까? 발달 장애와 학습 장애의 차이 및 의학적 비교

by 모두의 발달 2025. 4. 21.
반응형

발달장애학습장애는 비슷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의학적 기준에서는 명확히 구분됩니다.
아래에서 두 개념의 정의, 진단 기준, 뇌 기능 차이, 사례 등을 중심으로 비교해드릴게요.

발달장애와 학습장애의 차이를 이해하고 교육해요.


🧠 발달장애와 학습장애의 의학적 비교

구분발달장애 (Developmental Disabilities)학습장애 (Specific Learning Disorder, SLD)
정의 전반적인 발달 영역(지능, 언어, 운동, 사회성 등)에 걸쳐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장애 평균 이상의 지능을 갖고 있지만 **특정 학습 영역(읽기, 쓰기, 수학 등)**에서 지속적인 어려움을 보이는 장애
발현 시기 출생 전후 또는 영유아기부터 나타남 보통 학령기에 학습 과정을 통해 드러남 (초등학교 입학 이후)
원인 유전, 염색체 이상, 뇌손상, 대사장애 등 선천적 혹은 조기 손상 유전적 요인과 특정 뇌 기능의 차이로 인한 신경발달의 미세한 차이
지능(IQ) 지적장애 포함 시 IQ 70 이하 **정상 지능 이상 (IQ 85 이상)**이 일반적
주요 문제 전반적인 인지·의사소통·운동·사회성의 문제 특정 학습 능력의 저하 (예: 읽기만 심각하게 어려움)
뇌 기능 관련 부위 전반적인 뇌 구조 및 기능 이상 좌측 측두엽, 후두엽 등 특정 학습 기능 담당 부위의 정보 처리 속도나 기능 차이
예후 및 교육적 접근 전 생애에 걸친 지원과 교육 필요 조기 진단과 적절한 학습 전략 훈련 시 학업 성취 가능

🔍 사례 비교

✅ 발달장애 사례 ① – 자폐스펙트럼장애 (ASD)

**수현이 (5세)**는 엄마와 눈을 잘 마주치지 않고, 말이 늦으며, 다른 아이들과 어울리지 않습니다.
병원에서 검사한 결과, 지능은 낮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문제가 있어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을 받았습니다.
또래보다 전반적으로 발달이 느리며, 언어치료와 행동중재가 함께 진행 중입니다.

  • 의학적 해석: 사회성, 의사소통, 감각 조절 등 다영역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발달장애. 학습 이전에 이미 발달의 전반적 어려움이 관찰됨.

✅ 학습장애 사례 ② – 읽기장애(난독증)

**현우 (초등학교 2학년)**는 지능검사에서 평균 이상(IQ 105)으로 나왔지만, 읽기 능력은 1학년 수준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글자를 자주 바꾸어 읽고, 소리내어 읽기를 힘들어합니다.
병원 진단 결과 특정 학습장애 - 읽기장애(난독증) 진단을 받았고, 특수학급은 아니지만, 보충수업과 시각/청각 중심의 훈련을 받고 있습니다.

  • 의학적 해석: 정보 해석 및 문자 인식 처리 영역(측두엽, 좌측 전두엽)의 특정 기능 이상. 전반적 발달은 정상이지만 ‘읽기’라는 학습 영역만 선택적으로 어려움.

📘 정리 요약

항목발달장애학습장애
영역 인지, 언어, 운동, 사회성 등 광범위 읽기, 쓰기, 수학 등 특정 학습 영역
지능 수준 평균 이하 포함 가능 (IQ < 70) 평균 이상 (IQ ≥ 85)
치료/지원 방향 조기 중재, 통합교육, 재활치료 학습전략 훈련, 맞춤형 수업 (보충/특수교육)
발현 시기 주로 0~5세 주로 6세 이후, 학습 시작 시기

🎯 실용 포인트

  • 발달장애는 학습장애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 반대는 아님.
  • 진단 시에는 종합적인 평가가 중요: 지능검사, 학습성취도검사, 언어평가, 행동관찰 등.
  • 두 장애 모두 조기 발견과 개별화된 교육이 핵심이며, 오해하지 않고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부모, 교사, 전문가 모두에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