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 발달재활서비스 지원 확대
- 지원 대상 확대:
기존 8만 6천 명 → 10만 4천 명으로 1만 8천 명 증가 - 주요 수혜 대상: 만 18세 미만의 발달장애 아동
- 지원 내용: 언어치료, 행동치료, 미술/음악치료 등 다양한 재활서비스
2. 🧒 중증장애아동 돌봄서비스 단가 인상
- 단가: 기존 1만 2,140원/시간 → 1만 4,140원/시간
- 서비스 내용: 전문돌봄인력이 아동 가정을 방문하여 일상생활 지원
3. 💁 활동지원서비스 확대
- 지원 대상 확대:
2024년 12만 8,000명 → 2025년 13만 2,715명 - 가산급여 지원시간:
중증장애인 대상 시간 확대
기존 200시간 → 205시간으로 증가
4. 💼 장애인 개인예산제 시범사업 전국 확대
- 적용 지역:
기존 5개 지역 → 전국 17개 시도로 확대 - 주요 내용:
- 활동지원, 발달재활, 보조기기, 돌봄 등 다양한 서비스를 개인예산 안에서 통합 지원
-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강화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 목적
5. 💸 장애인연금 기초급여 인상
- 기초급여:
기존 33만 4,000원 → 34만 3,510원으로 2.6% 인상 - 목적: 생활비 부담 경감 및 소득 보장
6. 👩🔧 장애인 일자리 확대
- 공공일자리 수:
기존 30만 개 → 33만 5천 개로 확대 - 유형: 공공기관 업무보조, 복지시설 지원, 민간 연계 직무 등
7. 🏥 의료집중형 거주시설 시범 도입
- 도입 배경:
의료적 지원이 절실한 최중증 장애인을 위한 거주환경 개선 - 시설 내용:
- 간호사 2명 상주
- 24시간 응급지원 체계 구축
- 의료기기 및 환경 개선
8. 🚨 최중증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센터 신설
- 센터 수: 전국 2개소 신규 설립
- 목적:
- 도전적 행동(공격성, 자해 등) 등 응급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보호 조치
- 일시적 보호 및 치료를 통해 가족의 돌봄 부담 완화
📌 요약
구분주요 변화
발달재활서비스 | 지원 대상 18,000명 증가 |
중증장애아동 돌봄 | 단가 2,000원 인상 |
활동지원서비스 | 대상 및 시간 확대 |
개인예산제 | 전국 확대, 통합지원 |
장애인연금 | 2.6% 인상 |
일자리 | 33만 5천 개로 증가 |
의료집중형 시설 | 24시간 의료지원, 시범도입 |
긴급돌봄센터 | 최중증 발달장애인용 2곳 신설 |
반응형
'발달장애 뉴스 및 기사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발달장애 관련 주요 사건·사고 정리 (1) | 2025.04.15 |
---|---|
다문화 가정 발달 지연 아동을 위한 치료 및 정부 지원 (4) | 2025.04.12 |
다문화 가정 아이가 발달 지연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원인과 통계 (0) | 2025.04.12 |
느린아이의 장애등록 방법 (2) | 2025.04.09 |
아이돌봄 서비스의 A-G까지 알아보겠습니다. (3)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