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성 자료실

집중을 위한 놀이 방법

by 모두의 발달 2025. 3. 15.
반응형



수업 중 학생들의 집중력을 높이고 교실 분위기를 정돈할 수 있는 다양한 놀이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

1. 소리 없는 출석 부르기

방법:

1. 학생들의 이름을 무작위로 부르고, 부름을 받은 학생은 손을 들고 교사를 바라본다.


2. 점점 작은 소리로 부르다가 마지막에는 입 모양만으로 부른다.


3. 학생들은 자신의 이름을 크게 외친다.



효과:

교사와 학생이 눈을 마주치며 친밀감을 형성

학생들의 주의 집중을 유도



---

2. 얼음 땡

방법:

1. 교사가 "얼음!"이라고 외치면 학생들은 즉시 동작을 멈춘다.


2. 교사가 전달할 내용을 말한 후 "땡!"이라고 하면 다시 움직일 수 있다.



효과:

산만한 분위기를 빠르게 정리

학생들의 반응 속도 향상



---

3. 집어

방법:

1. 책상 사이에 지우개를 두고 "집어!"라고 하면 먼저 집는 학생이 이긴다.


2. 종례 시 전달할 내용이 끝난 후 "집어!"를 외쳐 학생들의 집중을 유도.



효과:

학생들이 긴장하며 교사의 말을 집중해서 듣게 됨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종례 진행



---

4. 호흡 맞추기

방법:

1. 짝을 지어 마주 보고 숨을 함께 들이마시고 내쉰다.


2. 웃지 않도록 주의하며 호흡을 맞춘다.



효과:

학생들 간 친밀감 형성

교실 분위기가 차분해지고 집중력 향상



---

5. 시간 재기

방법:

1. 학생들이 눈을 감고 70초가 되었다고 생각될 때 손을 든다.


2. 가장 정확한 학생에게 작은 보상을 제공.



효과:

시간 감각을 기를 수 있음

자연스럽게 집중력을 높이고 산만한 분위기를 정리



---

6. 소리 듣기

방법:

1. 눈을 감고 주변에서 들리는 소리 5개 이상 찾기.


2. 자신만 들었다고 생각하는 소리를 발표하기.



효과:

교실 분위기를 빠르게 조용하게 만들 수 있음

학생들의 관찰력과 집중력 향상



---

7. 무엇이 달라졌을까?

방법:

1. 짝과 서로 30초간 관찰 후, 돌아앉아 한 가지를 바꾼다.


2. 다시 마주 보고 바뀐 부분을 맞춘다.



효과:

친구에 대한 관심 증가

세부적인 관찰력 향상



---

8. 가라사대

방법:

1. "가라사대"라는 말이 포함된 지시만 따라야 한다.


2. "가라사대 왼손 들어" → 해야 함


3. "오른손 들어" → 하면 안 됨



효과:

집중력 향상

규칙을 따르는 연습



---

9.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변형)

방법:

1. 학생들이 두 손을 무릎 위에 둔 상태에서 진행.


2.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후 움직임이 들키지 않도록 한다.


3. 3회 반복하는 동안 두 손을 높이 올린다.



효과:

자기 통제력 강화

소극적인 학생의 성향 파악 가능



---

10. 분필 던지기 (소리지르기)

방법:

1. 분필이 공중에 있을 때만 소리를 낼 수 있음.


2. 분필이 손에 있거나 바닥에 닿았을 때 소리 내면 안 됨.



효과:

학생들의 주의 집중을 높이고 반응 속도를 빠르게 함



---

11. 청개구리 게임

방법:

1. 교사의 동작을 반대로 따라 하기 (손을 올리면 내리기).


2. 특정 학생에게 직접 따라 하도록 유도하여 모두가 걸리게 만들기.



효과:

재미있는 벌칙을 통해 집중력을 향상

규칙 이해 능력 강화



---

12. 쿵따

방법:

1. 교사가 "쿵"하면 학생은 "따"라고 대답.


2. "쿵쿵" → "따따"


3. "쿵따" → "따쿵"



효과:

리듬감 있는 놀이로 집중력 향상

순발력과 반응 속도 강화



---

13. 몸으로 표현하기

방법:

1. 속담, 노래 제목, 영화 제목 등을 몸짓으로 표현.


2. 말없이 몸짓만으로 정답을 맞히도록 한다.



효과:

창의력과 표현력 향상

팀워크 강화



---

정리

이러한 놀이들은 학생들의 집중력을 높이고 수업 분위기를 즐겁게 만들면서도 자연스럽게 사회성을 기를 수 있도록 돕습니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놀이를 활용하면 효과적으로 수업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