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심한 텐트럼(분노 발작, 떼쓰기, 땡깡, 생떼)을 보일 때 부모는 감정적으로 휘둘리지 않고 체계적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물론 아이의 연령과 발달단계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보편적으로 아래의 단계를 따라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아이를 진정시키고, 올바른 감정 조절을 도울 수 있습니다.

1. 텐트럼의 원인 파악
⬥ 기본적인 욕구 확인
아이가 배고프거나, 피곤하거나, 과도한 자극을 받았을 때 텐트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예방 조치: 식사와 수면을 규칙적으로 유지하고, 아이가 과도하게 피곤해지기 전에 휴식을 취하도록 합니다.
⬥ 감정적 이유 분석
아이가 원하는 것이 거부되었거나, 좌절감을 느낄 때 텐트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방 조치: 아이의 감정을 먼저 공감해주고, 적절한 방식으로 표현하도록 가르칩니다.
2. 텐트럼 발생 시 부모의 기본 원칙
1) 차분함 유지
부모가 감정적으로 반응하면 텐트럼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깊게 호흡하며 감정을 다스린 후 대응합니다.
2) 일관된 태도 유지
떼를 쓴다고 해서 원하는 것을 들어주면 아이는 같은 행동을 반복합니다.
한 번 정한 원칙은 끝까지 유지합니다.
3) 안전 확보
아이가 물건을 던지거나, 바닥을 세게 치거나, 자해하려는 행동을 보이면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킵니다.
위험한 행동을 할 경우 부드럽게 제지하지만, 과한 신체적 억압은 피합니다.
3. 텐트럼 대응 단계
✅ 1단계: 아이의 감정 공감하기
아이는 감정을 이해받지 못한다고 느끼면 더 강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 방법:
“많이 속상했구나.”
“지금 화가 나서 울고 있구나.”
“네가 원하는 걸 못 하게 해서 속상했지?”
⚠️ 주의할 점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되, 문제 행동을 허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게 소리 지르면 안 돼”보다는 “화가 날 수 있어. 하지만 소리 지르지 않고 말로 해 보자”라고 가르칩니다.
✅ 2단계: 차분하게 기다리기
아이가 감정을 폭발하는 동안 말을 많이 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 방법:
아이가 울고 소리 지르는 동안 조용히 옆에서 기다립니다.
필요하면 아이와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며, 지나치게 간섭하지 않습니다.
감정이 가라앉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합니다.
⚠️ 주의할 점
외부에서 텐트럼이 발생했다고 해서 창피해하지 마세요.
주변 시선을 신경 쓰느라 아이에게 소리 지르거나 체벌하지 않도록 합니다.
✅ 3단계: 감정 조절 방법 가르치기
아이의 감정이 가라앉은 후, 텐트럼을 어떻게 다룰지 교육합니다.
→ 방법:
“화가 날 땐 어떻게 하면 좋을까?”
“손으로 세 번 숨을 크게 쉬어 볼까?”
“기분이 나아질 때까지 책을 읽어볼까?”
“다음에는 어떻게 표현하면 좋을까?”
⚠️ 주의할 점
아이가 감정을 다스릴 수 있도록 쉬운 대안을 제시합니다.
“그냥 참아”보다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4단계: 올바른 행동 강화하기
아이가 텐트럼 없이 원하는 것을 표현했을 때, 이를 칭찬하고 강화합니다.
→ 방법:
“지금 네가 말로 이야기해서 엄마가 너무 기뻐!”
“화가 났지만 참고 말하려고 노력했네! 멋지다.”
⚠️ 주의할 점
보상으로 장난감이나 간식을 주는 방식이 아니라, 긍정적인 언어로 칭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상황별 텐트럼 대처법
▶️ 쇼핑몰, 공공장소에서 텐트럼이 발생할 때
대처법:
1. 아이를 조용한 공간으로 데려가 감정을 진정시킵니다.
2. 주변 시선을 신경 쓰지 않고, 차분하게 감정을 공감해줍니다.
3. 아이가 진정할 때까지 기다린 후 대화를 시도합니다.
⚠️ 주의할 점
아이를 억지로 끌거나 큰 소리로 혼내지 않습니다.
텐트럼을 막기 위해 미리 약속(“쇼핑 끝나고 작은 간식 하나 먹을 수 있어”)을 정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자기 전에 떼쓰는 경우
대처법:
1. 일정한 취침 루틴을 유지하여 불안을 줄입니다.
2. “5분 뒤에 불을 끌 거야”처럼 미리 예고하여 준비 시간을 줍니다.
3. 차분한 목소리로 아이를 안심시키고, 강한 반응을 보이지 않습니다.
⚠️ 주의할 점
억지로 아이를 눕히거나, “안 자면 혼날 거야” 같은 협박은 피합니다.
부드럽지만 단호한 태도를 유지합니다.
▶️ 장난감이나 간식을 원해서 우는 경우
대처법:
1. “이걸 원하지만 지금은 안 돼”라고 차분히 설명합니다.
2.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해도 감정을 표현할 방법을 알려줍니다.
3. 대신 할 수 있는 다른 선택지를 줍니다. (“장난감 대신 퍼즐 놀이 할까?”)
⚠️ 주의할 점
한 번 “안 돼”라고 했다면, 울어도 절대 줘서는 안 됩니다.
아이가 조용해진 후 대화를 시도합니다.
5. 텐트럼 예방을 위한 일상적 노력
1. 일정 유지: 일정한 식사, 수면, 놀이 시간을 유지하여 불안감을 줄입니다.
2. 감정 교육: 평소에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3. 선택권 제공: 작은 결정이라도 아이가 선택하게 하면 좌절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긍정적 강화: 올바르게 감정을 표현했을 때 충분히 칭찬합니다.
결론
텐트럼은 아이의 정상적인 성장 과정의 일부입니다.
부모가 감정을 조절하며 일관된 태도로 대처하면 아이는 점차 감정 조절 능력을 배우게 됩니다.
텐트럼을 훈육의 기회로 삼아 아이가 건강하게 감정을 표현하고 조절하는 법을 익히도록 도와주세요.
'사고력, 인지 발달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령기 학습 부진 극복을 위한 개별화 교육 계획(IEP) 활용법 (0) | 2025.04.02 |
---|---|
아동의 인지발달 방법 (0) | 2025.03.14 |
인지, 사고력 - 육하원칙을 배워요~!(2) (0) | 2019.05.21 |
시간을 배워요! (0) | 2019.05.15 |
감각통합 - 감각놀이치료 이론과 실제 (0) | 2019.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