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달장애 진단과 치료를 위한 한국형 임상가이드라인 2024' 발간
서울대학교병원 발달장애인거점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 중앙지원단은 2024년에 '발달장애 진단과 치료를 위한 한국형 임상가이드라인 2024'를 발표했습니다.
이 가이드라인은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중심으로, 임상 양상과 역학, 진단 및 평가, 치료 원칙 및 생애주기별 중재, 교육 및 행동 중재, 도전적 문제행동 중재, 공존질환 치료 및 약물치료 등 6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의료 전문가뿐만 아니라 발달장애인과 가족, 시민단체 및 행정가 등을 대상으로 하여, 발달장애의 조기진단 및 통합적 치료에 있어 최선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2. HDAC3 유전자 변이와 신경발달장애의 연관성 발견
서울대학교병원 연구팀은 HDAC3 유전자의 변이가 신경발달장애와 관련될 수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은 환자와 부모의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HDAC3 유전자에서 신생 돌연변이 6가지를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변이들이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의 활성 저하, 단백질 복합체 형성 저해, 핵 내로의 이동 저하 등을 초래하여 신경발달장애의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 연구는 신경발달장애의 병리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3. 발달장애학생 부모교육 관련 중재 프로그램 연구 동향
최근 국내에서는 발달장애학생의 부모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실험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부모교육을 통해 발달장애학생의 행동 및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부모의 스트레스 감소와 양육 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는 발달장애학생의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발달장애연구 학술지의 최신 연구 동향
'발달장애연구' 학술지에서는 다양한 최신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동화를 활용한 과제 수행이 지적장애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여가스포츠 경험 분석 등의 연구가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참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발달장애 분야에서는 진단과 치료, 유전적 요인, 부모교육, 사회적 참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해 보고, 차후에 좀더 자세하게 다뤄보겠습니다.
'발달장애 뉴스 및 기사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느린아이 부모님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도서 (0) | 2025.03.19 |
---|---|
느린아이 언어치료 효과 높이는 방법 (2) | 2025.03.18 |
미디어의 악영향 - WTO권고안 2~3세 어린이 하루 1시간 이상 미디어 사용 안돼! (0) | 2019.05.15 |
뇌와 언어 발달 (0) | 2019.05.13 |
만2세, 만3세, 만4세, 만5세 아동과 제대로 놀아주는 법 (0) | 2019.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