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자폐 스펙트럼 장애, ADHD, 지적 장애 등)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증상을 완화하고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러나 완치보다는 증상 관리가 주된 목표이며,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제
ADHD 치료제는 주의력 향상, 과잉행동 감소, 충동성 조절을 돕습니다.
(1) 중추신경계 자극제 (Stimulants)
대표 약물: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 → 리탈린(Ritalin), 콘서타(Concerta)
암페타민(Amphetamines) → 애더럴(Adderall), 바이반스(Vyvanse)
장점 (효과)
✔ 주의력 및 집중력 향상
✔ 과잉행동 및 충동성 감소
✔ 작업 기억 및 계획 능력 향상
✔ 학업 및 사회생활 능력 향상
단점 (부작용)
✖ 식욕 저하 및 체중 감소
✖ 불면증
✖ 심박수 증가 및 혈압 상승
✖ 장기 사용 시 내성 및 의존 가능성
(2) 비자극제 (Non-Stimulants)
대표 약물:
아토목세틴(Atomoxetine) → 스트라테라(Strattera)
구안파신(Guanfacine) → 인투니브(Intuniv)
클로니딘(Clonidine) → 카프베이(Kapvay)
장점 (효과)
✔ 자극제보다 의존성이 낮음
✔ 주의력 및 충동성 조절 효과
✔ 수면 장애가 있는 경우 유리
단점 (부작용)
✖ 졸음, 피로
✖ 저혈압 및 어지러움
✖ 위장 장애 (구토, 설사)
2.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치료제
자폐 치료제는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 불안 감소, 강박 행동 완화 등을 목표로 합니다.
(1) 항정신병 약물 (Atypical Antipsychotics)
대표 약물:
리스페리돈(Risperidone) → 리스페달(Risperdal)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 아빌리파이(Abilify)
장점 (효과)
✔ 공격성 및 자기 상해 행동 감소
✔ 반복적인 행동 및 강박 행동 완화
✔ 사회적 상호작용 개선 가능
단점 (부작용)
✖ 체중 증가, 대사 증후군 위험
✖ 졸음 및 피로
✖ 호르몬 변화 (프로락틴 증가 → 유즙 분비, 생리 불순)
(2)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 및 항우울제
대표 약물:
플루옥세틴(Fluoxetine) → 프로작(Prozac)
설트랄린(Sertraline) → 졸로프트(Zoloft)
장점 (효과)
✔ 불안 및 강박 행동 완화
✔ 우울증 및 감정 조절 개선
단점 (부작용)
✖ 소화기 문제 (구토, 설사)
✖ 감정 둔화 또는 충동성 증가 가능
3. 지적 장애 및 기타 발달장애 관련 치료제
(1) 기분 안정제 (Mood Stabilizers)
대표 약물:
발프로산(Valproate) → 데파코트(Depakote)
리튬(Lithium)
장점 (효과)
✔ 기분 변동 및 충동적 행동 조절
✔ 공격성 감소
단점 (부작용)
✖ 간 기능 이상 가능성
✖ 체중 증가 및 손 떨림
(2) 수면 장애 치료제
대표 약물:
멜라토닌(Melatonin)
트라조돈(Trazodone)
장점 (효과)
✔ 자연스러운 수면 유도
✔ 비교적 안전한 약물
단점 (부작용)
✖ 졸음 지속 가능
✖ 장기 사용 시 효과 감소

결론
발달장애 치료제는 특정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신중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 후 처방받아야 하며, 약물뿐만 아니라 행동 치료, 인지 치료 등과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위의 약물은 의사의 검진과 처방에 따라서 용량에 맞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발달장애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달장애 아동에게 도움이 되는 영양제 및 성분과 효과 (0) | 2025.03.21 |
---|---|
발달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뛰어난 성취를 이룬 인물들! (1) | 2025.03.20 |
초보 부모의 느린아이 치료와 방법 모색하기 (0) | 2025.03.16 |
아동의 신체 발달에 좋은 운동 기구(느린아이에게도 좋아요) (0) | 2025.03.14 |
느린아이를 위한 일반적 훈련방법 (2) | 2025.03.12 |